Skip to content

기획전

가자-팔레스타인 역사와 현재

수무드 저항

기획전

가자-팔레스타인 역사와 현재

수무드 저항

기획전

수무드 저항

2024/12/13 – 미정

주최: 우토로평화기념관

협력: 오카 마리

아라비아 말에는 저항을 뜻하는 말이 두 가지 있다. 하나는 무기를 가지고 싸우는 저항, 그리고 또 하나는 짓밟히고 짓밟혀도 몇 번이고 다시 일어나 어떻게든 그곳에서 버티는 저항이며, 그것이 수무드이다.

2005년 우토로 마을을 방문한, 유대인과 팔레스타인이라는 두 뿌리를 가진 배우 줄리아노 메르 카미스 씨는 우토로 마을에 있었던 간판에 사인했을 때 이 말을 적었다.

우토로 간판에 새겨진 『우토로는 고향』『불도저가 와도 여기 남으리』『여기서 살고 여기에 묻히리』라는 말들에 줄리아노씨는 “똑같은 말을 몇 번이나 제닌 난민 캠프 난민 1세들한테 들었는 지 모릅니다. 이게 수무드예요. 일본에도 우리와 같은 투쟁을 싸워내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걸 알게 된 건 우리들에게 용기를 주고 우리들의 투쟁에 힘을 실어 줄 겁니다.”


이번에 저희 기념관에서는 특별전 『가자-팔레스타인 역사와 현재 수무드 저항』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에서는 이스라엘 국가에 의한 학살로 인해 민간인들 중에서도 다수의 아이들이 희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최근에 시작된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의 장기간에 걸친 이스라엘 국가에 의한 점령, 봉쇄, 그리고 수 많은 학살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끊임없이 이어져 온 이스라엘의 국가 폭력은 인도적으로 허용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유엔 헌장 및 여러 국제법에 위반되는 행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 사회는 침묵과 방관을 통해 이에 가담하여, 때로는 이스라엘을 심판하기는 커녕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기도 했습니다.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140개국 이상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을 포함한 G7 모든 국가는 팔레스타인을 나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70년 이상에 걸쳐 이스라엘의 허용될 수 없는 폭력이 용인되고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권리가 짓밟혀 왔던 것은 우리가 이 문제를 나와는 상관 없는 일이라 여겨왔기 때문이 아닐까요?

국제 사회와 우리 시민들의 팔레스타인 역사에 대한 망각과 무관심이 계속된다면 지금 이 순간에도 발생하고 있는 학살을 멈추지도 못할 뿐더러, 더 많은 가자, 나아가 더 많은 학살을 낳게 될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식민지주의와 인종차별주의에 기인하는 압도적인 폭력에 노출된 사람들과의 연대의 뜻에서, 가자-팔레스타인의 역사와 현재를 널리 바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저희 기념관이 해야 할 책무라 여기고 특별전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기획전

가자-팔레스타인 역사와 현재
수무드 저항

아라비아 말에는 저항을 뜻하는 말이 두 가지 있다. 하나는 무기를 가지고 싸우는 저항, 그리고 또 하나는 짓밟히고 짓밟혀도 몇 번이고 다시 일어나 어떻게든 그곳에서 버티는 저항이며, 그것이 수무드이다.

2005년 우토로 마을을 방문한, 유대인과 팔레스타인이라는 두 뿌리를 가진 배우 줄리아노 메르 카미스 씨는 우토로 마을에 있었던 간판에 사인했을 때 이 말을 적었다.

우토로 간판에 새겨진 『우토로는 고향』『불도저가 와도 여기 남으리』『여기서 살고 여기에 묻히리』라는 말들에 줄리아노씨는 “똑같은 말을 몇 번이나 제닌 난민 캠프 난민 1세들한테 들었는 지 모릅니다. 이게 수무드예요. 일본에도 우리와 같은 투쟁을 싸워내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걸 알게 된 건 우리들에게 용기를 주고 우리들의 투쟁에 힘을 실어 줄 겁니다.”


이번에 저희 기념관에서는 특별전 『가자-팔레스타인 역사와 현재 수무드 저항』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에서는 이스라엘 국가에 의한 학살로 인해 민간인들 중에서도 다수의 아이들이 희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최근에 시작된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의 장기간에 걸친 이스라엘 국가에 의한 점령, 봉쇄, 그리고 수 많은 학살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끊임없이 이어져 온 이스라엘의 국가 폭력은 인도적으로 허용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유엔 헌장 및 여러 국제법에 위반되는 행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 사회는 침묵과 방관을 통해 이에 가담하여, 때로는 이스라엘을 심판하기는 커녕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기도 했습니다.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140개국 이상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을 포함한 G7 모든 국가는 팔레스타인을 나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70년 이상에 걸쳐 이스라엘의 허용될 수 없는 폭력이 용인되고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권리가 짓밟혀 왔던 것은 우리가 이 문제를 나와는 상관 없는 일이라 여겨왔기 때문이 아닐까요?

국제 사회와 우리 시민들의 팔레스타인 역사에 대한 망각과 무관심이 계속된다면 지금 이 순간에도 발생하고 있는 학살을 멈추지도 못할 뿐더러, 더 많은 가자, 나아가 더 많은 학살을 낳게 될 것입니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식민지주의와 인종차별주의에 기인하는 압도적인 폭력에 노출된 사람들과의 연대의 뜻에서, 가자-팔레스타인의 역사와 현재를 널리 바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저희 기념관이 해야 할 책무라 여기고 특별전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今後のイベントなど

우토로 아트 페스티벌 2025
10/10 (금) - 11/10 (월)

우토로 아트 페스티벌 2025

우토로 아트 페스티벌 2025는 「이주, 삶, 희망」을 주제로, 태어난 곳을 떠나 교토 우토로 지역을 새로운 생활 터전으로 삼고 공동체를 형성해 온 사람들의 이주와 삶을 둘러싼 투쟁에서 착안했습니다. 본 전시는 이주에 대한 새로운 시선을 열어줄 예술 작품들을 모아, 앞으로도 전 세계적으로 계속될 사람들의 대이주를 희망찬 것으로 만들고자 합니다. 페스티벌 개요 타이틀: 이주, 삶, 희망 기간: 2025년 10월 10일 – 11월 10일 장소: 우토로평화기념관, 괴테 인스티투트 빌라 카모가와, 도시샤대학 [video mp4="https://www.utoro.jp/CMS/wp-content/uploads/2025/08/artfes_ko.mp4"][/video]   큐레이터 팀 예술 감독: 유재현 수석 큐레이터: 정현주 큐레이터/현대미술: 남상화 큐레이터/무대예술: 김묘수 큐레이터/현대미술: 코넬리아 오스발드-호프만 이사 김수환, 레베카 젠니슨, 슈테피 리히터, 유재현 주최 우토로 아트 페스티벌 2025 실행위원회 공동 주최 우토로평화기념관, 교토코리아학컨소시엄, 도시샤코리아연구센터 협력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독일 Art5 예술협회, 이스크라21, 지구촌동포연대, 재독한국여성회, 베를린 여자의회, 괴테 인스티투트 빌라 카모가와, 포도나무 아트 스페이스, 코리아 유라시아 로드런, 바보의나눔,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스테이트먼트 본 기획은 태어난 곳을 떠나 교토 우토로 지역을 새로운 생활 터전으로 삼고 공동체를 형성해 온 사람들의 이주와 삶을 둘러싼 투쟁에서 착안했습니다.…
09/21
(일)

개인 투어

혼자서 천천히, 또는 친구나 가족과 함께 우토로 지구의 역사나 평화를 향한 바람을 경험해 보는 건 어떠신가요? 여러분들의 참가를 진심으로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개인 투어는 일본어로 진행됩니다.)

SNS에도

우토로 평화기념관의 일상이나 행사 공지를 게시하고 있습니다